본문 바로가기

반려견

강아지 슬개골 탈골 증상, 원인 및 예방법

반응형

 

 

 

 

 

안녕하세요 강아지를 좋아하는 사람

Dog Person입니다.

 

얼마 전 한 보험사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강아지 보험 지급액 1위 질병은 슬개골 탈구였다고 합니다.

강아지 탈골은 소형견을 선호하는 우리나라에선 항상 조심해야 하는 질병 중 하나인데요.

 

높은 곳을 오르락내리락하는 것을 즐기는 강아지들을 보면 한 번쯤은 고민했을 병입니다.

오늘은 강아지 탈골 증상과 원인, 슬개골 탈구 치료와 예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강아지 탈골(슬개골 탈구) 이란?


 

 

슬개골은 무릎 운동을 할 때 상하로 움직이는 무릎뼈입니다.

다리가 움직일 때 함께 움직이며 무릎 관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이 슬개골이 옆으로 미끄러져 빠져 있으면 이를 '슬개골 탈구'라 합니다.

 

 

 

 

■  증상

 

강아지가 다리를 절뚝거리거나 한쪽 다리를 들고 다닌다면 무릎뼈가 빠져서

걸을 때 통증을 느끼고 있는 것 일수 있습니다.

 

자가 진단 방법으로 약 10걸음 정도 걷도록 하는데 한 번씩 다리를 들거나 휘청거린다면 탈골로 보고 즉시

동물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  원인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주로 뼈대가 약한 소형견에 흔히 나타나는 질병입니다.

주로 몰티즈, 치와와, 포메라니안, 푸들 등 소형견이 취약합니다.

 

관절에 무리를 주는 습관이 주원인으로

 

두 발로 오래 서있는 행동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는 행동

 

미끄러운 거실 바닥으로 인하여 다리에 힘을 주었을 때 무릎에 큰 부담 발생 등이 주원인입니다.

 

 

■  예방

슬개골 탈구가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무릎에

부담이 가지 않는 몸무게와 생활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적절한 몸무게 유지

 

  비만으로 인해 몸무게가 늘어나면 관절에 가는 부담은 당연히 커집니다.

  반대로 과도하게 말랐을 경우 근육이 없어서 관절에 부담이 가므로 적절한 몸무게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견종마다 기준이 되는 몸무게가 다르지만, 정상 체중 계산하는 법을 공유드립니다.

 

 

강아지 신체상태 점수 확인

 

강아지가 비만인지 아닌지 알기 위하여 신체충실지수 (BCS, Body Condition Score)를 측정합니다.

 

 

 

적정 체중의 강아지

 

가슴을 만져봤을 때 얇은 지방층이 느껴지고 갈비뼈가 쉽게 만져지는 스타일입니다.

건강한 체형은 위에서 봤을 때 엉덩이와 어깨가 배보다 넓은 확실한 곡선이 보입니다. 옆에서 봤을 때는

가슴이 나와있고 배가 홀쭉하게 올라 붙은 모습입니다.

 

강아지 표준 체중을 계산하고 현재 몸무게에서 그 무게를 맞춰줘야 정산체중이 됩니다.

적절한 산책을 통해 근육을 강화하고 체중조절에 신경 써줘야 합니다.

 

 

 

강아지를 위한 미끄럼 방지 패드 및 계단 설치

 

마루 바닥 같은 미끄러운 바닥은 소형견에게 적합하지 않은 바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미끄러지지 않으려고 힘을 주거나, 넘어지면서 충격으로 탈구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침대나 소파에서 뛰어오르거나 뛰어내리는 행동 또한 탈골을 유발하므로 계단을 설치해 방지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많은 소형견이 앓고 있는 슬개골탈구. 발병되었는지 모를 정도로

증상이 가벼운 경우는 보호자가 신경만 써준다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적절 몸무게를 유지하고, 운동습관 및 생환환경을 개선하여 강아지에게 좋은 환경을 만들어 

반려견과 행복한 생활 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